카테고리 없음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고, 거짓은 참을 이길수 없다

블로그~세상 2025. 3. 5. 02:23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자유와 정의의 기로에서

현재 대한민국은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구속되고, 거대 야당은 29차례에 걸쳐 탄핵을 추진하며 국정을 마비시키고 있습니다. 선관위의 부정선거 의혹은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있으며, 입법·사법·행정의 균형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격변의 한가운데 서 있는대한민국을 바라보는 많은 국민들은 깊은 불안과 걱정 속에서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거대 야당의 폭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선거를 통해 국민의 뜻이 반영되고, 선출된 정부가 국가를 운영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거대 야당은 민주적 절차를 무시한 채 입법 독재와 국정 발목잡기를 통해 국가 운영을 마비시키고 있습니다.

  • 헌법이 보장하는 삼권분립을 무너뜨리고, 사법부까지 장악하려는 시도
  • 국정 운영에 필수적인 예산을 부당하게 삼각하며, 국민이 아닌 자신들의 이익을 최우선
  • 선거 관리의 공정성을 해치는 선관위 장악과 부정선거 의혹

이러한 행태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훼손하며, 대한민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문제보다 더 심각한 것은 헌법재판소가 공정성을 잃고, 특정 이념에 치우친 판결을 내릴 가능성입니다.
만약 ‘우리법연구회’ 소속 판사들이 헌법재판관으로서 대통령 탄핵을 인용한다면, 대한민국은 심각한 후폭풍에 휩싸이게 될 것입니다.

◆ '우리법연구회' 판사들 – 사법부의 독립을 위협하는 존재

‘우리법연구회’는 진보적 성향이 강한 법관들의 모임으로, 과거부터 정치적 판결을 내려왔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 법치주의가 아닌 정치적 성향에 따라 판결을 내릴 가능성
  • 삼권분립의 원칙을 깨고, 사법부가 정치권과 결탁할 위험
  • 특정 이념에 따라 대한민국의 헌법 질서를 흔들 가능성

이러한 사법부의 편향성은 이미 과거 사례에서 드러났으며, 이번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통령 탄핵이 인용된다면, 대한민국은 어떻게 되는가?

    1. 헌법과 법치주의의 붕괴
      • 탄핵이 정치적 목적에 의해 결정된다면, 헌법의 권위는 사라지고 법치는 붕괴됩니다.
      • 대통령을 선출한 국민의 의사는 무시되고, 소수의 법관이 국가의 방향을 결정하는 위험한 선례가 남게 됩니다.
    2. 정권 교체가 아니라, 정권 강탈이 될 가능성
      • 탄핵이 인용된다면, 차기 정부는 민주적 절차가 아닌 사법적 쿠데타를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 이는 선거를 통한 정권 교체가 아닌, 기득권 세력이 법을 이용한 정권 강탈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3. 국민적 분열과 사회적 혼란 가중
      • 대통령 탄핵은 단순한 정치적 사건이 아니라, 국민의 선택을 부정하는 행위입니다.
      • 결과적으로 사회적 갈등이 극심해지고, 대한민국은 극단적인 대립 속에 빠질 위험이 큽니다.
    4. 대한민국의 미래, 홍콩과 같은 길을 걸을 수도
      • 홍콩은 법치와 민주주의가 무너진 후, 국민이 자신의 나라를 지킬 힘을 잃었습니다.
      • 만약 대한민국에서도 사법부가 공정성을 잃고, 이념적 판결을 내린다면, 홍콩과 같은 길을 걷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계엄령이 아닌 ‘계몽령’ – 깨어나는 젊은이들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계엄령’이 아닌 ‘계몽령’이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언어유희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현실을 직시하고 행동에 나서는 젊은 세대의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특히 역사 강사 전한길 선생님의 영향력이 크다고 합니다.

  • 그는 단순히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걸어온 길과 현재의 위기를 직시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 그의 강의를 통해 많은 젊은이들이 진실을 깨닫고,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그 결과, 이삼십대가 일어나고 전국의 대학생들이 시국선언을 하고 있으며, 심지어 중·고등학생들까지 나서서 나라의 미래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깨어나는 세대가 등장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대한민국, 홍콩처럼 될 것인가?

우리는 홍콩의 사례를 잊어서는 안 됩니다.

  • 홍콩은 한때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였지만, 공산당의 개입과 조작된 선거를 통해 결국 자유를 잃었습니다.
  •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사라지고, 시민들이 국가의 주인이 아니라 통제받는 존재로 전락했습니다.
  • 대한민국에서도 부정선거 의혹과 정치적 탄핵 시도가 이어진다면, 홍콩과 같은 길을 걸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는 희망이 있습니다.젊은 세대가 깨어나고 있으며, 국민들이 더 이상 거짓과 불의를 묵과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고, 거짓은 참을 이길 수 없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은 단순한 정치적 혼란이 아닙니다.
이것은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자유를 지키기 위한 국민들의 싸움입니다.

  • 국민이 깨어 있다면, 대한민국은 홍콩처럼 되지 않을 것입니다.
  • 젊은이들이 진실을 깨닫고 행동에 나선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희망이 있습니다.
  • 거짓과 불의가 아무리 강해 보여도, 진실을 향한 국민의 힘은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어둠이 깊을수록 새벽은 더욱 가까워집니다.
이제 대한민국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진실을 깨닫고 행동하는 모든 국민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지켜낼 것입니다

싸우자! 이기자! 반드시 승리하자!.